꿀팁 상황에 따른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여부 (질권설정, 채권양도) - 반응형 [내 돈 + (신용대출)] 전세계약을 한 경우 기관에 상관없이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은행을 통한 공공기관의 전세대출 + 내 돈] 전세계약을 한 경우 청년이라면 이런 방식의 계약을 많이 했을 것이다. 공공기관 전세대출 80% + 내 돈 20% 정도 영업점 방문을 해 보니, 이런 성격의 전세대출은 질권설정이나 채권양도가 설정되지 않은 전세대출이라고 한다. 혹시 모르니 방문해서 나의 대출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영업점에서 전세금반환보증을 취급하는지를 알아보고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비대면 가입 신청을 해보면 된다. [내 돈 + (신용대출)] 전세계약을 한 경우 처럼 보증보험 가입을 시도해 볼 수 있으며, 내가 이 경우에 해당하고, 후기는 여기서 볼 수 있다. [일반은행의 질권설정이나 채권양도 설정된 전세대출 + 내 돈] 전세계약을 한 경우 전세대출은 기관(은행 or 공공금융기관)에서 질권설정이나 채권양도 중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으며, 질권설정을 할 경우 임대인이 반감을 가질 수 있다. 요즘은 질권설정을 하는 전세대출이 별로 없다고 한다. 채권양도 : 세입자가 전세금을 돌려받을 권리를 은행에게 넘기는 것 질권설정 : 임차인이 임대인으로부터 임차보증금 받을 권리 이 말인 즉슨, 임대인이 보증금 미반환시 집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나 말고 은행이 선순위로 돈을 돌려받기 위함이다. 이런 전세대출을 들고 있다면 보통 대출을 받은 기관을 제외하고는 전세보증보험을 들기 어렵다. 예시1 : HUG에서 전세대출 후 HF에서 전세보증보험 가입 불가 (경매 시 HUG가 선순위, HF가 후순위) 예시2: KB 국민은행에서 전세대출 후 HUG에서 전세보증보험 가입 불가 (경매 시 KB가 선순위, HUG가 후순위) 혹은 들 수 있다 하더라도, 보증보험이 매우 비싸다. 이 부분은 확실하지 않으니, 좀 더 알아보길 바란다. 예시 : 2억 8천만원 전세보증보험 가입시 연 120여만원 이상 (SGI 전세보증보험 개인임대인 수수료율 기준) A은행에서 질권설정이나 채권양도 설정된 전세대출을 받았다면, A은행에서 제공하는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해야 한다. A은행에서 보증보험을 들면 경매시 선순위가 A은행이고, 가입한 보증보험의 후순위도 A은행이 되기 때문 (경매로 넘어갈 시 전세대출과 보증보험기관의 선후순위가 상관이 없게 됨, 전세대출도 A은행, 보증보험기관도 A은행이기 때문) [질권설정이나 채권양도 설정된 전세대출 + 내 돈] 전세계약의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고 싶다면 전세대출을 했던 기관에서 전세보증보험을 신청하면 된다. 만약 질권설정된 전세대출을 우리은행에서 받았다면, 우리은행에서 전세금반환보증 상품을 문의하면 된다. 전세보증보험 조건과 한도 및 수수료율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HUG : https://www.khug.or.kr/hug/web/ig/dr/igdr000001.jsp HF : https://www.hf.go.kr/ko/sub02/sub02_05_01.do SGI : https://kamco.sgic.co.kr/chp/iutf/hp/insurance/CHPINFO002VM2_04.mvc 도움이 되셨다면 아무 광고나 클릭 한 번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Beelog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Contents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중소기업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연장 / 목적물 변경 (전세대출을 들고 이사갈 때) 2023.08.20 청년도약계좌 소득기준은? 세전세후? 2023.06.20 공시지가 없는 신축오피스텔 전세보증보험 가입 후기!! 2023.04.26 전세대출상환보증과 전세금반환보증의 차이 2023.04.17 댓글 0 + 이전 댓글 더보기